임진왜란 Archives - BUSAN.TABI.KR
부산여행 안내사이트 부산나비

Tag: 임진왜란

장문포왜성

장문포왜성

안녕하세요. 부산에서 차로 1시 간 정도 거리에 있는 거제도는 바다로 둘러싸인 자연으로 풍요로운 섬으로 부산시와 해저터널로 연결되어 많은 관광객이 찾는 관광지이지만, 거제도에는 1593년 임진왜란때 축성한 몇 개의 일본식 왜성이 남아 있습니다. 장목만의 양 옆 산꼭대기 위에 장문포성과 송진포성이 있으며, 장문포성은 북서쪽 107미터 언덕 위에 쌓아 올렸습니다. 차도에서 왜성 입구까지는 완만한 길이어서 비교적 견학하기 좋은 곳에 위치하고...

녹동서원

관광지명鹿洞書院 녹동서원주소大邱広域市 達城郡 嘉昌面 友鹿里 585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길 585 전화번호053-767-5790영업시간タルソン韓日友好館09:00~18:00 (冬11月~2月 09:00~17:00)휴업일正月、旧正連休、秋夕連休입장료무료사이트

表忠寺

표충사

慶尚南道 密陽市(ミリャンシ)から東方へ20キロ離れた載薬山( チャヤッサン、海抜1108メートル)の南麓に位置している表忠寺(ピョチュンサ)は、もともと新羅時代の武烈王(654)の時に創建され、当時は竹林寺と称されましたが、1592年に勃発した壬辰倭亂(文祿・慶長の役)の際に活躍した四溟大師を称えるために表忠寺と名を改めて今まで至っています。...

세병관

세병관

세병관은 정면 9칸 측면 6칸의 팔작지붕 세병관은 선조 36년(1603) 충무공 이순신(1545~1598) 장군의 위업을 기리기 위해 지어졌습니다. 그 후 한산도의 본영을 이곳으로 옮겨 3도 수군통제영의 중심 건물로 사용하였는데, 현재는 당시의 객사였던 세병관만이 유일하게 남아 있습니다. 경복궁 경회루와 여수 진남관과 더불어 한국에서 현존하는 목조건물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건축물입니다. 국보 제305호 기본정보 Name 세병관 洗兵館...

加德倭城

가덕왜성(율차왜성)

こんにちは、釜山西部に位置する加德島は、昔、釜山と南海岸をつなぐ軍事的な要衝地として重要な位置を占めていた島でした。加德島の北にある標高70メートルの小高い山の頂上には文禄2年1592年に起きた文禄の役の際、6番隊の主将として出陣した小早川隆景らが1593年9月に築城したお城があります。加德倭城は加德水道を挟んで熊川倭城と安骨倭城があり、この三つの倭城が港湾を守備するとともに南海岸から進む朝鮮水軍を抑えていました。...

구포왜성

구포왜성

부산 서부 구포시장 부근에 위치한 왜성 안녕하세요, 예로부터 바다의 관문으로서 큰 역할을 해 오고 있는 항구도시 부산은 16세기 왜장 소서행장 등이 부산에 상륙하여 임진왜란이 시작된 도시이기도 합니다. 그당시 축성된 왜성이 부산 해안에도 여러 군데 있는데 낙동강을 경계로 김해시와 마주보고 있는 구포에도 왜성이 있습니다. 왜성은 부산의 서민시장이자 전통재래시장으로 상인들과 쇼핑객들로 북적이는 구포시장 부근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구포시장 근처...

 

 

熊川倭城

웅천왜성

산자락으로 뻗어 있는 성곽 안녕하세요, 부산에서 서쪽으로 차로 약 1시간 정도의 거리에 있는 창원시 진해구는 매년 4월이면 한국 최대의 벚꽃 축제인 ‘진해군항제’가 개최되는 해군기지가 있는 곳인데 진해에 16세기에 축성된 일본 왜성이 있습니다. 웅천왜성은 진해 시내에서 13km정도 떨어진 해발 184m의 남산 정상 혼마루에 천수각을 두고 산기슭을 따라 니노마루, 삼노마루가 정연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육지로부터 보호를 위해...

서생포왜성

서생포왜성

부산시와 울산시의 경계에 있으며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왜성 중 성의 규모가 가장 크고 보존상태가 뛰어난 왜성 부산시와 울산시의 경계에 있는 서생포왜성은 16세기에 발전했던 일본 축성술을 엿 볼 수 있는 일본왜성 유적의 하나로 많은 연구자들이 찾고 있는 성이며 이 성은 임진왜란 초기인 1592년(선조 25년) 7월부터 1593년(선조 26년)에 걸쳐 왜군 가토 기요마사가 감독하여 돌로 쌓은 16세기 말의 전형적인 일본 성입니다. 서생포왜성...

순천왜성 천수각

순천왜성

1598년(선조 31년) 순천왜성에 주둔한 고니시 유키나가의 일본군과 조선과 중국 명연합군의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졌던 성터! 전남 순천시 동남쪽에 위치한 순천왜성은 임진왜란(1597년) 때 우키타 히데이에와 토도 타카토라가 전라도를 공략하기 위한 마지막 전략기지로 3개월에 걸쳐 축성된 왜성입니다. 당시 고니시 유키나가가 이끄는 13000여 명의 일본군이 이곳에 주둔하면서 벌어진 조·명 연합군과의 두 차례의 왜교성 싸움은 임진왜란의 최후·최대의...

울산왜성(학성공원)

울산왜성(학성공원)

한국 대표적인 공업단지인 울산 시내에 위치하고 16세기 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가 축성한 일본성! 안녕하세요, 울산시내에 있는 울산왜성(학성공원)은 1597년과 1598년에 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 가 이끄는 일본군과 조선 명나라연합군과의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진 왜성입니다. 임진왜란 때 남해안 벨트에 많은 왜성이 축성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부산에서 가까운 동해안 끝자락에 축조된 왜성입니다. 왜성 정상에 본마루, 서북쪽으로는 니노마루와 삼노마루를...

機張竹城里倭城

기장죽성리왜성

1593년 도요토미 히데요시 조선 출병 때 축성된 왜성 부산 기장군에서 동쪽 해안으로 차로 약 10분 정도의 거리에 위치한 기장죽성리왜성은 1593년 서울 한양에서 퇴각한 일본군이 장기전을 대비하기 위해 구로다 나가마사(黒田長政)가 부산에서 동쪽으로 가장 가까운 기장에 성을 쌓았으며 임진왜란 때는 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가 일시 주둔한 성이기도 합니다. 부산 기장 앞바다가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나지막한 두개의 구릉을 중심으로 해발 64m 남쪽...

Menu

http://pf.kakao.com/_rNbzxb/chat